am, are, is 는 본래 동사로서의 작용을 하는 것 외에 조동사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ex) He is a doctor. (~이다.)
ex) He is in the bedroom. (~있다.)
am, are, is 은 '~이다' '~있다'의 두가지 뜻으로 사용된다.
am, are, is 는 현재를 나타내려는 동사형이다. (현재형)
주어가 되는 낱말의 인칭과 수에따라 am, are, is가 구분된다.
ex) I am a pianist
주어가 1인칭 단수 I 이다. 이경우에는 am이 쓰인다.
주어가 he, she와 같이 3인칭 단수인 경우에는 is.
그 밖의 경우에는 are을 쓴다.
ex) She is a pianist.
ex) They are pianist.
과거를 나타낼때.
ex) He is in Pusan. (현재)
과거는 동사 is 대신 그것의 과거형 was를 사용한다.
ex) He was in Pusan last year.
was는 '~이었다', '~있었다' 의 뜻이다.
am,is의 과거형은 was.
are의 과거형은 were이다.
ex) I was in Pusan last year.
ex) They were in Pusan last year.
미래를 나타낼때
He will be in Pusan next year.
'~있을것이다'라는 뜻으로, 미래를 말할 경우 will be를 쓴다.
will '~일 것이다'라는 뜻을 지닌 조동사이며,
will 뒤에 붙는 동사는 반드시 동사의 원형이다.
그러므로 be는 is의 원형이다. 이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am, are, is를 be동사라고 부르는 것.
will be의 뜻은 '~일 것이다', '~있을 것이다' 로 쓰인다.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 주어에 관계없이 will be 를 사용한다.
ex) They will be in Pusan next year.
am, are, is를 포함한 부정문, 의문문
부정문
ex) They are not American oranges.
be동사 are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not 을 쓴다.
are not은 '~이 아니다'라는 부정의 뜻을 가지게 된다.
are not은 aren't 으로 쓸 수 있다.
물론 is not은 isn't, am not은 방언으로 amn't 라고 쓸 수 있다.
ex) They aren't American oranges.
'~이다', '~있다'를 부정해서 '~이 아니다', '~없다' 라는 뜻을 표기할때도
마찬가지로 be동사에 not을 쓰면 된다.
ex) That man is not my uncle.
ex) I was not at home yesterday.
의문문
ex) Is he a good doctor?
be동사가 주어의 앞에 가서 '~입니까?' 라는 뜻이 되었다.
평서문 He is a good doctor
의문문 Is he a good doctor?
be동사를 사용해 '~입니까?', '~있습니까?' 하고 질문을 할 경우에
이와같이 be동사를 주어 앞에 둔다.
ex) Are you hungry?
be동사를 포함한 의문문에 대답할 경우에도 be동사를 통해 대답해야한다.
ex) Yes, I am.
ex) No, I'm not.
조동사로서의 am, are, is.
be동사가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그 동사의 작용을 돕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be동사는 의미는 특별히 없지만,
동사의 현재분사형이나, 과거분사형과 결합해 진행형, 수동형을 만든다.
이 때도 주어나 시제에 따라 be동사가 다르다.
진행형
ex) He is writing a latter now.
is에는 의미가 없으며, 뒤에 붙는 동사 write의 현재분사형 writing과 결합해
'쓰는 중이다'라는 현재진행의 동작을 나타낸다.
ex) He was writing a letter then.
be동사가 동사의 현재분사형과 결합한 형태를 진행형이라하며,
'~하고 있다', '~하고 있었다' 로 진행의 동작을 나타낸다.
수동형
ex) The store is opened at ten.
be동사 is와 동사 open의 과거분사형 opened가 결합해 '열린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역시 is에는 특별한 의미는 없다.
be동사 + 동사의 과거분사형 = 수동형
이며 '~되다', '~당하다' 라는 뜻이다.
ex) His watch was stolen yesterday.
be동사를 사용하는 표현.
be동사와 어느 특정한 낱말이 결합해 그 집단 전체가 뒤에 붙는 동사에 의미는 덧붙이는 작용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be동사도 주어 인칭 수를 나타내는 시제에 따라 사용되는 형태가 달라진다. 그래서 그 원형인 be라는 낱말로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려는 것이 보통이다.
be going to.
ex) He is going to buy a new car
be + going to 의 형태의 뒤에 붙는 동사에 '~할 예정이다' 라는 뜻을 준다.
이 경우의 동사는 반드시 동사원형이다.
'살 예정이었다' 와 같이 과거의 일을 말할 경우에는
be동사의 과거형인 was, were을 사용한다.
ex) He was going to buy a new car last year.
부정문인 경우에는 be동사 뒤에 not이 붙는다.
의문문인 경우에는 주어 앞에 be동사를 쓴다.
ex) I am not going to study tonight.
be able to
ex) She is able to ride a bicycle.
be동사와 able to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것은 뒤네 붙는 동사에 '~할 수 있다'라는 의미를 준다.
이 때의 동사도 반드시 동사원형이다.
be about to
ex) The sun is about to rise.
be동사 뒤에 about to가 붙은 형태로, '막~하려 하고있다'라는 의미이다.
이도 마찬가지로 to뒤의 동사는 동사원형이다.
There is (are)
ex) My book is on the desk.
어떤것이 존재하는 장소를 나타낼 경우 그것을 나타내는 말을 문장의 앞에 둔다.
하지만 똑같이 '있다'는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라도
어디가 아닌 무엇이 중점에 두는 경우가 있다.
ex) There is a book on the desk.
장소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There is 로 시작해서 그 뒤에 그것을 나타내는 말을 둔다.
존재하는 것이 한개가 아닌 몇 개일때는 There are를 사용한다.
ex) There are some books on the desk.
there의 본뜻인 '거기에'라는 뜻은 없고, There is라는 형태로 '있다'는 존재의 뜻으로만 남는다.
'있었다' 라고 할 경우는 be동사의 과거형을 사용한다.
ex) There was a doll in the box.
부정문의 경우에는 be동사 + not.
의문문의 경우에는 주어 앞에 be동사를 써준다.
ex) There is not a dog in the room.
ex) Is there a dog in the garden?
Here is(are)
There is로 시작되는 것과 비슷한 형태이다.
ex) Here is a book.
here의 본뜻은 '여기에' 이다.
Here is로 문장을 시작하고 그 뒤에 물건을 나타내는 명사를 두면 '여기 ~이 있다'라는 뜻이된다.
There is로 시작되는 문장과는 달리 Here is는 본뜻이 담겨져 있다.
그러므로 on the desk 와 같이 장소를 나타내는 표현이 필요없다.
here을 사용한 관용적인 표현이 있다.
남에게 물건을 건낼때 쓰는 표현
ex) Here it is.
ex) Here you are.
* ㅡ만든이; 훼리오스
'나의 공부 > 자격증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도 TOEIC 시험 일정 (0) | 2008.01.09 |
---|---|
내가 아는 자격증 혹은 인증 혹은 시험_ (0) | 2007.12.26 |
2008년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일정 (0) | 2007.12.26 |
2007년 JPT 시험 일정. (0) | 2007.02.08 |
2007년 한자검정능력시험 일정- (0) | 2007.01.07 |